DoM (2) 썸네일형 리스트형 [ REACT ] 리액트 이해, 렌더링과 Virtual DOM 한동안 뷰만 사용했고, 잠깐 사용했던 리액트 공부를 다시 시작할 예정이라 구매한 책을 싹 처음부터 훑어볼예정입니다. 책보면서 정리하면서 블로그에 올리려고 합니다 : ) 리액트는 라이브러리고, 오직 뷰만 담당한다. 리액트는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라이브러리고, 다른 프레임 워크가 라우팅등의 기능을 내장한 반면, 리액트는 오직 뷰만 신경 쓰는 라이브러리로 기타 기능은 라이브러리 등으로 구현해서 사용해야 한다. 그래서 원하는 라이브러리를 선택해서 사용할수 있지만 동시에 여러 라이브러리를 다루어야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리액트는 라이브러리기 떄문에 다른 웹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와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컴포넌트 재사용이 가능한 API로 수많은 기능들을 내장하고 있다. 컴포넌트 하나에서 해당 컴포넌트의 생김새.. [ FrontEnd ] 웹컴포넌트와 Shadow DOM 웹 컴포넌트 정리하다가 신기한 부분을 발견해서 정리해봅니다 : ) Shadow DOM이라고 들어보기는 했지만 감히 찾아볼 생각은 안하고 있었는데, 우연한 기회에 스터디 하다가 찾은 내용으로 ! 모든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볼수 있는 방법과, 간단한 실습으로 실제로 Shadow DOM을 삽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웹 컴포넌트 웹 컴포넌트는 컴포넌트 기반 프로그래밍을 웹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W3C에서 새로이 정한 규격이다. 웹 표준을 기반으로 구축되었으며, 최신 브라우저 및 모든 JavaScript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웹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코드를 작성하면 Vue나 React와 같은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에 의존하지 않고 상호 운용이 가능하게끔 작성할 수 있다. Sh..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