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tyle줄 때 기계처럼 적용하는 transform, translate, transition
단어들이 비슷해서 가끔 적용 시 헷갈릴 때가 있다🥲
그래서 간단히 정리하고 넘어가도록 한다 !
transform : element 변형 시 사용
translate : transform에 속해있는 translate는 transform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 scale, rotate 같은 애 )
transition : element 변형 시 속도, 시간, 횟수 들을 조절
transform
Element를 변경시킬 때 사용 ( 위치 이동 , 회전 , 크기 조절 등 )
span{
transform : 변형속성 ( 값 , 값2 )
// 여려개 속성 변경시
transform : 변형속성1 ( 값 ) 변형속성2 ( 값 , 값2 ) ....
}
transform 내 사용
translate , scale , rotate 등..
translate
Element를 이동시킬 때 사용
X축이나 Y축 기준으로 한 값만 적용시키고 싶을 때는
translateY , translateY를 사용하던가 translate에서 원하지 않는 값에 0을 사용해도 된다
span {
transform : trnaslate (x축기준 이동시킬 값 , y축 기준 이동 시킬 값)
// 현재 element 위치 기준 x축,y축 으로 100px씩 이동 시키는 예제
transform : translate ( 100px, 100px )
// Y축만 이동
transform : translate ( 0 , 100px )
// 혹은
transform : translateY ( 100px )
}
transition
Element의 CSS 속성을 변경할 때 부드럽게 움직이거나
원하는 대로 적용되도록 애니메이션 속도, 반복 횟수, 조절 등을 할 수 있다
div{
width:100px;
height:100px;
background : red ;
opacity : 1 ;
/* transition으로 opacity를 3초에 걸쳐 변화시킨다 */
transition : opacity 3s
}
//hover 했을때 사라지는 효과
div:hover{
opacity : 0
}
hover시에 transition을 사용할 때 hover에 transition값을 주어도 서서히 변화는 효과가 적용되긴 하지만
오직 hover 될 때만 적용되고 mouse가 벗어날 때는 적용되지 않으므로
자체 element의 style에 transition값을 주는 편이 좋다
( 원하는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
728x90
반응형
'Front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 Git ] Git을 단축어로 사용 ! alias 정리 ( with. fzf , tig ) (1) | 2021.04.09 |
---|---|
아이폰 input , select 확대 기능 없애기 (1) | 2021.03.31 |
[ HTML ] 검색이 가능한 select만들기 datalist (0) | 2021.03.01 |
[ ESlint & Prettier ] 문법오류, 코드정리 도와주는 도구들 (0) | 2020.11.14 |
[NVM] node 이전버전 사용하기 (0) | 2020.10.07 |